만장굴 5

제주여행 코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제주 탐방

제주여행 코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탐방 제주도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어 보존되고 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한라산과 성산일출봉 그리고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1960년, 이집트가 아스완 하이댐을 만들면서 시작됐다. 이 댐이 완성되면 댐의 수몰지역 내에 있는 누비아 유적이 사라질 위기였고, 유네스코는 누비아 유적을 지키기 위해 국제적인 지원을 호소했다. 60개국이 여기에 호응해 누비아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및 발굴, 기술 지원 등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누비아 유적 내의 아부심벨 대신전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옮겨지게 됐다. 이를 계기로 국제적으로 자연, 문화유산을 보존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1975년에 세계의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조약이 정식으..

유네스코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재인증 확정

2010년 인증 후 세 번째 재인증, 2026년까지 브랜드 지위 유지 ​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변덕승)는 유네스코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의 세 번째 재인증이 확정돼 2026년까지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 유네스코는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에 대해 지난 9월 현장평가, 12월 7~9일 제7차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운영위원회 심사를 거쳐 재인증 하기로 결정했다고 누리집(https://www.unesco.org)을 통해 공식 발표했다. ​ 유네스코는 심의에서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은 2018년 재인증 당시 유네스코에서 제시한 권고사항을 충실히 이행했고,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제9차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제주 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점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 유네스코..

제주소식 2022.12.22

세계자연유산 미디어아트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탄생』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소재로 12일부터 한 달간 만장굴서 개최 ​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세계자연유산 미디어아트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탄생』을 오는 12일(토)부터 12월 11일(일)까지 만장굴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행사는 만장굴 내 공개구간에 세계자연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을 소재로 대자연의 신비와 자연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이해·보전하기 위해 미디어맵핑기술을 융합한 미디어쇼 연출과 관람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 프로그램은 만장굴 공개구간 중 4개 구간을 선정해 세계자연유산이 갖고 있는 자연·생태적요소와 친환경적 미디어맵핑기술이 융합되어 도슨트(세계자연유산 해설사) 투어 형식으로 진행된다. ​ 운영시간은 오전 9시 45분부터 오후 4시까지 총 8회 운영된다. ..

[구좌읍]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유산, ‘덕천리’

덕천리제주의 숨겨진 비경을 만날 수 있는 마을​​누구나 한번쯤은 ‘코로나가 아니였다면..’ 이라는 생각을 시작으로 각자 다양한 생각들을 해 봤을거라 생각한다. 그렇다. 정말 코로나가 아니였으면, 이곳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 국내 유일이라는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숨겨진 비경이 다양한 프로그램과 더불어 세계유산축전 이라는 이름으로 9월 4일부터 시작되었다. 거문오름에서 월정리에 이르기까지 약 20여km 의 구간에서 3개의 테마(구간)로 다양한 제주의 비경을 만날 수 있다. 우연히 찾아가게 된 이 마을은 용암의 길(세계유산센터~덕천리), 동굴의 길(덕천리~만장굴 매표소) 의 사이에 있는 ‘덕천리’ 로 좋은 기회와 함께 찾아가 본다. 약 500여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 마을은 본래 제주군 구좌면..

[구좌읍]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만장굴’

만장굴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신비로운 동굴탐험 지난 9월 초에 시작된 세계유산축전이 곧 막을 내린다. 짧은 기간은 아니었지만 코로나로 인한 인원제한으로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탐방할 수 없어 아쉬움이 남았다. 그렇지만, 우리 사회가 건강하기만 하다면 언제든 다시 만날 수 있는 자연이기에 편안하게 탐방할 수 있는 날을 기약하며, 오늘은 세계자연유산 중의 한 곳인 ‘만장굴’을 만나보자. 최근 제주도내의 확진자의 증가로 어느 곳에서든지 먹을 때를 제외하고는 마스크 착용은 필수다. 물론 산행을 할 때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그래도 이렇게 마스크를 착용하고서라도 잠시나마 자연과 공감할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낀다. 얼마나 오래 이 상황이 지속될 진 모르지만,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기본적인 규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