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포동]자동차타고 숲속여행 ‘서귀포자연휴양림’
서귀포자연휴양림
드라이브하며 즐기는 숲 속의 진한 향기에 빠지다
올 여름은 엄청 더울 것이라 기상청에서 예상한대로
제주도는 지난 주 장마가 끝난 후부터 폭염경보가 지속되고 있다.
너무 무더운 날씨에 햇빛이 강렬한 11시~14시 사이에는
최대한 실내에서 활동하려 노력 중이지만,
집에서 가만히 앉아서 이 여름을 보내기엔 너무나도 아쉽다.
시원한 바다를 찾아 떠나려 해도 이런 무더위,
이런 햇살엔 해수욕장에서도 물 속에 들어가 있지 않는 이상은 더위를 피할 방법이 없다.
그래서 제주도 시내를 벗어나 한라산이 가까운 곳으로 떠나본다.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은 시내와 5~6°C 정도 차이가 나서
조금은 선선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간에 있는 숲속에서는 조금 무거운 바람이 불긴 하지만
왠지 몸도 마음도 가벼워지는 듯한 상쾌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제주도의 흔한 숲길 중에서도 직접 걷지 않고도 차 안에서 시원하게 숲길을 탐방할 수 있는 ‘서귀포자연휴양림’을 소개하고자 한다.
1100도로에 위치한 ‘서귀포자연휴양림’은 제주도내의 다른 휴양림처럼
다양하게 숲길을 걸을 수 있는 코스가 여러 갈래 나뉘어져 있다.
또한 숙박을 할 수 있는 숲속의 집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개인 텐트를 가져와
야영을 즐길 수 있는 야영장도 따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자연휴양림에서는 볼 수 없는 ‘차량순환로’가 있다.
차량순환로는 총 3.8km 거리로 시작지점에서 끝지점까지 약 10분 정도 소요되는 거리다.
구경하지 않고 그냥 지나가버리면 조금 허무할 수도 있는 시간이지만,
중간 중간 마련된 주차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뒤 숲의 향기를 맡으며 돌아보면
오랜 시간 숲에 머무를 수 있다.
또한 차량순환로는 일방통행으로 입구와 출구가 다르기 때문에
한 번 지나가면 다시 되돌아 갈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출발 전 잠시 주차장에 주차한 뒤 지도를 살펴보고
어떤 구간에 숲길산책로를 잠시 걸을 수 있는지 확인한 후 걷고 싶을 때는
잠시 내려 걸을 수 있도록 계획을 짜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차량으로 이동하면서도 다양한 산책로를 탐방할 수 있는데,
출발하기 전 주차장 옆으로 ‘혼디오몽 무장애나눔숲길’이 새롭게 개통되어
잠시 걷고 싶으면 이 길을 걸어보는 것도 좋다. 0.67km로 아주 짧은 거리이기도 하고,
무장애나눔숲길이라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편리하게 숲을 탐방할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숲길산책로를 탐방하면 좋다.
5km 거리로 약 2시간이 소요되는데, 날씨가 너무 덥지 않을 때는
딱 걷기 좋은 거리의 코스다.
시간이 많지 않다면, 생태관찰로와 건강산책로를 한 바퀴 돌아볼 것을 추천한다.
2.2km로 4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며, 다양한 생태를 관찰할 수 있다.
fdfdfdf
그리고 마지막 추천코스는 법정악전망대까지 차량으로 이동한 뒤 주차를 해두고,
법정악전망대까지 갔다 오는 코스다.
전망대로 가는 길은 620m로 넉넉하게 왕복 30분 정도 생각하면 된다.
법정악전망대로 향하는 모든 산책로는 데크가 깔려 있어 불편함 없이 돌아볼 수 있다.
단, 날씨가 좋지 않으면 전망대에 올라서도 멋진 풍경대신
새하얀 배경에 나무 몇 그루만 보게 될 것이다.
요즘처럼 무더운 날씨에도 이런 숲길은 에어컨 없이 다닐 수 있을 만큼
시원한 공기가 맴돈다.
열심히 걷다보면 당연히 등줄기를 타고 땀이 흘러내리겠지만,
이 정도의 더위는 참을만하다고 느낄 정도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숲이다.
차량순환로를 이용해 휴식을 즐기러 온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텐트를 치고 야영을 즐기는 사람도 있고 그냥 평상 위에 돗자리를 깔고서
단잠을 청하는 사람들도 볼 수 있다.
자연휴양림 내에서 음식을 가져와서 먹을 수는 있지만, 취사는 금지다.
단, 지정된 장소(야영장)에서는 취사가 가능하다.
자연이 사람에게 베푸는 만큼 사람들도 그런 자연을 위해 지켜야 할 규칙들은
반드시 지켜주면서 자연을 이용하면
모든 사람들이 힐링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
무더운 여름, 자동차 안에서 시원하게 숲 속을 탐방하는 여행 기대되지 않는가?
서귀포자연휴양림
주소 : 서귀포시 1100로 882번(대포동)
전화 : 064-738-4544
입장료 : 어른 1,000원, 어린이 300원, 주차료 중·소형 2,000원